한국전력 주봉 차트 입니다.
2016년 이후로 탈원전으로 인한 전기생산 원가 증가 전기비 인상 철회 등으로 주가가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습니다.
재무재표 입니다.
차트와 마찬가지로 2016년 이후 꾸준한 영업이익 감소로 2018년에는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계속되는 적자로 인해 배당이 계속 줄어오다가 2018년에는 배당을 지급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꾸준한 배당률 하락으로 외국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의 꾸준한 매도로 인해 한국전력의 주가는 계속해서 하락세를 보였던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지분의 대부분을 국가가 가지고있는 공기업이고 우리나라의 전기 수요를 봤을때 절대 망하지 없는 회사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망하진 않는데 이익이 나지않는다?
하지만 저희는 기업의 안정성도 중요하지만 수익을 내는것이 첫번째 목표이기때문에
한국전력의 주가상승 시나리오를 크게 3가지로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1. 전기요금 개편
현재 저희나라의 전기료는 다른 나라에 비해서 매우 저렴합니다.
오죽하면 한전 직원이 두부보다 콩이 더 비싸다는 말까지 할 정도입니다.
(전기료가 싸서 전기를 공급하는게 더 손해라는 말로 풀이됩니다.)
하지만 전기료는 전 국민적으로 큰 이슈이기 때문에 쉽게 올리지는 못하지만 천천히 올려야 한다는 것에는 어느정도 동의를 하는 분위기입니다.
그리고 뉴스가 나온 12월 9일 / 10일 전기요금 개편에 대한 기대감으로 약 10%의 주가 상승이 있었고 기관/외국인의 매수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아직은 검토단계지만 전기료 인상이 확실시 된다면 당연히 한국전력 주주분들에게는 좋은소식이 될것 같습니다.
2. 유가 하락 (원가 하락)
얼마전 중동과 미국의 원유 치킨게임으로 인해서 엄청난 유가의 하락이 있었습니다.
한국전력은 이를통해 이득을 본 기업중에 하나 입니다.
화석연료를 통해 대부분의 전기를 만드는 현재의 발전 특성상 원유가격이 낮아졌을 때 생산 단가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 셰일가스층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어 원유의 공급이 전보다 늘어나고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해 점차 원유에 의존하지 않게 되고 이것이 곧 가격을 떨어뜨릴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이를 통해 원유의 가격이 낮아진다면 생산단가의 감소로 인해 영업이익이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 원전 재가동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원자력발전에 대한 두려움은 많이 사라졌지만 원자력 발전을 병행하며 전기를 생산하던 기업에는 원가 상승이라는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탈원전은 이번 정부의 핵심 공약 중 하나이기 때문에 원전 재가동은 최소 내후년 대선이 지나서야 가능한 시나리오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다음 정부가 다시 원전 재가동에 동의할지는 미지수이지만 전기요금이 꾸준히 인상된다면 국민들의 마음도 탈원전에서 원전을 재가동하자는 쪽으로 돌아설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한국은 오래전부터 지진이 많이 일어나지 않는 곳이기도 하고 아직까지는 친환경에너지로 지금의 전기수요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라 생각해서 원전 재가동에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몇가지 가능한 시나리오를 적어봤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한국전력이 현재 주가 23,900원으로 고점인 63,700원에 비해서 너무 낮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한전이 적자에서 흑자로 겨우겨우 올라오는 단계이고 앞으로의 일은 어떻게 될지 모르기때문에 만약 투자하게 되신다면
충분히 생각하시고 조심 또 조심하면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킨스전자 주가 분석] 9달만에 저점기준 1298% 상승한 원인 분석 / 반도체 후공정 기업 (0) | 2020.12.17 |
---|---|
[하이즈항공 주가 분석] 태웅로직스와 그린뉴딜 사업 시작 / 수소차 관련주에 편입되나? (0) | 2020.12.17 |
[급등 종목 분석] 명신산업 주가 상승 원인분석 (0) | 2020.12.17 |
[급등 종목 분석] 휘닉스소재 주가 상승 원인분석 (0) | 2020.12.17 |
[저평가 우량주 분석] 단타말고 가치투자 하세요! /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KT&G 분석하기 (0) | 2020.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