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CJ ENM의 월봉 차트 입니다.
2011~2013년도는 슈퍼스타 K의 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전국민이 사랑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으로
엄청난 주가 상승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슈퍼스타 K4 이후 부터 악마의편집 논란으로 인한 스타성 인재의 부재 / 플랫폼의 진부함 등으로 인해
2013년 말 400,000원 대의 주가를 끝으로 꾸준한 하락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J ENM의 연간 재무재표 입니다.
15~18년도까지 일정한 매출을 보여주다 19년도에 크게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순이익은 엔터관련 사업의 특성상 상승하락을 반복하는 보습을 보여줍니다.
CJ ENM의 최근 분기 재무재표 입니다.
코로나 때문에 엔터주 특성상 공연 / 방송에 제약이 많았음에도 매출이 전과 비슷하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J ENM의 매출 구성에 생각보다 영화/공연 등의 매출이 크지않아서 코로나에 의한 직격탄을 맞지 않았다 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히려 사회적 거리두기 / 집에 머무는 시간 증가 등으로 인해 미디어를 소비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매출의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제 CJ ENM의 주가 상승 시나리오 2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힙합 음악의 소비 증가
201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대부분은 발라드나 댄스곡을 주로 들었습니다.
하지만 쇼미더머니의 성공으로 인해서 요즘은 길가다가도 심심치 않게 힙합음악을 들을 수 있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30대 이상분들은 하나의 들을 거리가 생긴 것이지만
멋있어 보이고 싶은 욕구가 강한 10대 청소년들에게는 힙합의 영향은 점점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CJ ENM이 힙합에 관련된 여러회사의 지분을 가지고 있고
쇼미더머니, 고등래퍼 등 힙합의 상승에 힘입어 여러 프로그램도 만들어 내면서 시장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힙합의 소비증가는 곧 CJ ENM의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중국과의 관계 개선
모든 엔터주의 주가는 중국과의 관계에 엄청난 영향을 받습니다.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 드라마, 한국 음악의 소비량이 엄청나기 때문입니다.
중국은 최근 사드문제에서도 보셨다시피 정부에서 모든것을 제재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국과의 관계는 주가에 있어서 가장 큰 쟁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MNET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개선
옛날 슈퍼스타 K 부터 MNET에 대한 대중들의 시선은 곱지 않았습니다.
악마의 편집을 이용하여 참가자들을 마녀사냥 당하게 만든다던지 갑질을 한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고 제기되어 왔습니다.
그러던 와중 이번에 프로듀스 101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참가자의 인기투표를 조작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MNET에 대한 대중들의 신뢰가 바닥으로 떨어졌습니다.
과연 MNET은 깊은 반성과 함께 악의적인 의도가 없는 편집 / 투표과정,결과의 투명한 공개 등을 통해
떨어진 신뢰를 다시 쌓아 올릴 수 있을지 주목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만약 투자하시게 된다면 앞서 말씀드린 사항들 뿐만 아니라 충분한 시간을 가지시고
여러가지 분석과 고민을 하시고 신중하게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등 종목 분석] 휴마시스 주가 급등 원인분석 / 향후전망 (진단키트 관련주) (0) | 2020.12.20 |
---|---|
[급등 종목 분석] 동신건설 주가 급등 원인분석 / 향후전망 (이재명 관련주) (0) | 2020.12.20 |
[오킨스전자 주가 분석] 9달만에 저점기준 1298% 상승한 원인 분석 / 반도체 후공정 기업 (0) | 2020.12.17 |
[하이즈항공 주가 분석] 태웅로직스와 그린뉴딜 사업 시작 / 수소차 관련주에 편입되나? (0) | 2020.12.17 |
[급등 종목 분석] 명신산업 주가 상승 원인분석 (0) | 2020.12.17 |
댓글